클라우드

클라우드 1주차

늠재 2025. 9. 11. 11:25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공유 구성이 가능한 컴퓨터 리소스(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을 통합시켜

어디서나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모델이다.

 

AWS, Azure, GCP 등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이 있고,

클라이언트는 회사에 영향 없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WS에서 서버를 요청하고 GCP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상호운용성 이라고 한다.

물론 한 회사 내에서도 서버, 네트워크 등 여러 서비스를 담아서 사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

1. 주문형 셀프 서비스. 서비스 제공자의 수동 조작 없이 사용자별 관리 화면에서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

 

2. 광범위한 네트워크 접속.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 서비스 접속이 가능하다.

 

3. 리소스 공유. 여러 클라이언트가 같은 컴퓨팅 리소스를 공유하여 이용하는 개념이다.(ex. 서버 공간)

    사용자마다 리소스가 할당되지만, 사용자는 시스템의 어느 부분에 접속했는지 까지는 알 수 없다.

 

4. 신속한 확장성. 필요에 따라 입맛대로 컴퓨팅 리소스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ex. 수강신청 서버를 클라우드로 이용하여 최소한도로 필요한 리소스만으로 운영하다

 수강신청 시즌이 되면 클라우드에서 서버를 확장 사용하여 서버 공간을 늘려서 운영한다.

5. 측정 가능한 서비스 서비스를 이용한 만큼만 요금이 부과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의 세 가지 종류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CPU나 하드웨어 등의 (하드웨어에 가까운) 컴퓨팅 리소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로 제공

- 하드웨어 자원을 SW 적으로 나누어서 사용자에게 제공(클라이언트는 자유롭게 리소스 양을 조절할 수 있다.)

-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혹은 월정액제 사용(서버 등)

 

Paas(Platform as a Service) 기업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 및 개발환경 구축 등을(미들웨어, Middle Ware) 서비스로 제공

-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이나 DB환경 까지는 제공.

자사에서 개발한 응용 프로그램을 가동할 수 있음.

-  서버와 각종 미들웨어의 상세 설정은 불가능.

- 쿠버네티스 방식.

 

SaaS (Software as a Service) 업무에서 사용하는 SW의 기능을 필요한 만큼 서비스로 제공(ex. Google Workspace)

- 하나의 서버를 여러 기업에서 공유하는 멀티 테넌트(tenant, 임차인) 방식

- 사용자 계정을 마련하면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다.

-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기기로 접속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