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 페이징
프로세스를 메모리에 적재할 때, 처음부터 모든 페이지를 적재하지 않고 필요한 페이지만 적재하는 기법.
메모리 절약과 효율적인 관리, 프로세스 응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프로세스는 물리 메모리와 스왑 영역 중 한 곳에 위치
페이지가 스왑 영역에 있는 경우
1. 요구 페이징 때문에 처음부터 올라가지 못하는 경우
2. 메모리가 꽉 차서 스왑 영역으로 옮겨 온 경우
플래그 비트 6가지
접근(access) 비트: 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온 후 사용한 적이 있는지 알려주는 비트
변경(modified) 비트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온 후 데이터의 변경이 있었는지 알려주는 비트
유효(valid) 비트: 페이지가 실제 메모리에 있는지 알려주는 비트
rwx 비트: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나타내는 비트
페이지 부재(page fault)
프로세스가 페이지 요청 시 그 페이지가 메모리에 없는 상황요구 페이징
프로세스를 메모리에 적재할 때, 처음부터 모든 페이지를 적재하지 않고 필요한 페이지만 적재하는 기법.
메모리 절약과 효율적인 관리, 프로세스 응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프로세스는 물리 메모리와 스왑 영역 중 한 곳에 위치
페이지가 스왑 영역에 있는 경우
1. 요구 페이징 때문에 처음부터 올라가지 못하는 경우
2. 메모리가 꽉 차서 스왑 영역으로 옮겨 온 경우
플래그 비트 6가지
접근(access) 비트: 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온 후 사용한 적이 있는지 알려주는 비트
변경(modified) 비트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온 후 데이터의 변경이 있었는지 알려주는 비트
유효(valid) 비트: 페이지가 실제 메모리에 있는지 알려주는 비트
rwx 비트: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나타내는 비트
페이지 부재(page fault)
프로세스가 페이지 요청 시 그 페이지가 메모리에 없는 상황
'코딩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S 1주차 (0) | 2025.09.01 |
---|---|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 Program Counter, NULL, Garbage Collector, Stack Overflow (0) | 2025.05.05 |
물리 메모리 (1) | 2025.04.29 |
정규표현식, XML과 JSON, Tokenizer, Lexer, Parser, AST (2) | 2025.04.29 |
코틀린으로 서버 대기열 구축하기 (0) | 2025.04.18 |